본문 바로가기
Info

잘 때 입 벌리고 자는 사람 조심! 목 보호하는 방법 알아봐요!

by storywriter 2022. 4. 5.
반응형
728x170

목소리가 매력적이면 그만큼 호감도도 높아지고 집중도 역시 올라갑니다. 의사소통할 때 대화는 필수고, 이때 목소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꽤 높다고 합니다. 일상에서 목을 보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코로 숨쉬기 = 생각보다 입으로 숨 쉬는 사람이 매우 많습니다. 비염이 있는 경우 구강 호흡을 하기도 하고, 잘 때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도 있습니다. 낮에도 공부하거나 일을 할 때 입을 벌리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코로 잘 쉬고 있는지 체크해 봅시다.

 


가습기 사용 = 비염이 있는 경우에도 목이 빨리 상하는 건, 건조한 공기가 조절이 안 되고, 염증에 의해 콧물이 자꾸 넘어가기 때문입니다. 공기 중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가습기는 꼭 쓰는 것이 좋습니다. 저녁에 소금물 가글 후 뜨거운 물을 많이 받아 놓고, 수건을 뒤집어쓴 다음 증기를 코와 입으로 흡입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따뜻한 차 = 꿀물, 생강차 등은 간편하게 마련할 수 있으면서 목에도 도움이 됩니다. 카모마일과 라벤더 차는 진정시켜주고, 티트리는 염증을 줄여 주니 허브 티로 마셔주면 좋겠습니다. 도라지는 목에 작용하는 중요한 약초니 차로 수시로 음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목 스트레칭 하기 = 성대의 문제에도 스트레칭이 도움이 되는데 목소리 보호를 위해서는 특히 앞부분의 목을 움직여주면 좋습니다. 고개를 위로 들어서 쭉 늘려주고, 목 주변의 근육을 편안하게 해 혈액순환을 도와주면 성대의 염증도 좋아질 수 있습니다.

 


목 스카프 하기 = 많은 가수, 성우가 하는 방법으로 밤에 잘 때 목을 따뜻하게 유지해 주면 목소리가 한결 편안해집니다. 스카프를 두르거나, 목이 답답하지 않은 정도의 목티를 입고 자면 좋습니다.

 



발성훈련 = 가수가 두세 시간을 노래하고도 목이 괜찮은 건 목소리를 짜내지 않도록 훈련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인도 복식호흡을 하면서 배로 소리를 내는 훈련을 하면 목소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노래하지 않더라도 말을 많이 하는 경우에는 발성훈련을 해봅시다.

목에 안 좋은 것 피하기 = 신맛이 많은 과일이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있습니다. 감귤류 과일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초콜릿과 커피도 목소리 보호에 안 좋은 음식으로 분류합니다.

 


휴식 취하기 = 목소리를 관리하는데 휴식은 첫 덕목입니다. 한의학에서는 기운을 오장육부에서 나오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목소리가 퍼져 나오는 것 자체는 폐에서 관리하지만, 울려 나오는 근본적인 힘은 신장의 기운으로 보고 있습니다. 신장 기운, 즉 만성피로를 담당하는 곳이 고장 나면 목이 잘 쉬게 됩니다. 목이 쉬고, 따끔거리는 것은 피로가 심하다는 증거 중의 하납니다.

 



소금물 가글 = 소금물 가글만 매일 해주셔도 목소리 보호 효과가 정말 큽니다. 일과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 쉬기 전에는 반드시 소금물로 가글합니다. 머그잔 반 잔에 미지근한 물을 채우고 2~3티스푼 정도 소금을 타서 가글합니다. 소금 자체가 소염작용을 하기 때문에 성대 윗부분의 염증을 줄여주기도 하고, 입안의 이물질을 소독할 수 있습니다. 목소리를 많이 쓰면 하루에 서너번 해주셔도 좋은 습관입니다.

 


따뜻한 물 수시로 마시기 = 목소리를 보호하려면 성대 쪽 점막이 촉촉해야 합니다. 모든 점막은 메마르면 문제가 생깁니다. 이때, 찬물이냐 뜨거운 물이냐는 질문이 많은데 권하고 싶은 건 미지근하면서 살짝 따뜻한 물입니다. 찬물은 일시적으로는 시원해 청량감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체내 온도를 낮춰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도 식도를 상하게 해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말을 많이 하는 것 외에 성대에 폴립이 생기고, 바이러스가 침투하거나 염증, 비염으로 인한 자극, 피로감 등으로 목이 쉬고 성대결절이 생깁니다. 이럴 때 생활습관을 잘 관리해 주면 목이 보호되고 아름다운 목소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당장 할 수 있는 한두 가지를 실천해서 목을 보호하도록 합시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