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혈전 생성 억제 효과 있는 음식과 생활습관

by storywriter 2022. 3. 28.
반응형
728x170

혈전은 혈액 속에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피가 굳어서 덩어리가 되는 것으로 피의 흐름을 막아 온몸을 순환한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혈전이 생기면 피의 심장 복귀에 문제가 생겨 심장병, 뇌졸중의 원인이 되는데 특히 심부정맥 혈전증의 합병증인 '폐색전증'까지 생기면 매우 위험하다.

 

 

 

혈전 생성 억제에 도움이 되는 음식들

 

 

◆ 양파

 

양파는 퀘세틴 성분이 풍부해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혈전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퀘세틴은 나쁜 활성산소가 세포를 공격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염증 및 상처 회복에 효과가 있다.

 

 

◆ 메밀

 

메밀은 루틴이 많이 든 식품 중 하나로 루틴은 몸속에서 혈전을 생성하는 단백질인 황화물이성질화효소(PDI)의 작용을 하는 것을 억제한다. 특히 메밀은 단 메밀과 쓴 메밀이 있는데, 쓴 메밀은 단 메밀보다 루틴이 70배 이상 많다.

 

 

◆ 마늘

 

마늘의 매운맛을 내는 알리신 성분이 혈전을 녹이는 작용을 통해 혈관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 예방을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리신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당을 떨어뜨려 당뇨병 예방에도 좋으며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질환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강력한 살균·항균 작용으로 식중독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 토마토(방울토마토)

 

토마토에는 몸의 산화를 늦추는 라이코펜 성분이 많아 세포의 산화를 막아주고 혈관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 라이코펜은 특히 전립선암 예방에 좋은 식품으로 검증되기도 했는데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질환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아준다. 완숙 토마토나 토마토 가공식품에 라이코펜이 많이 들어 있으니 참고하자.

 

 

◆ 사과

 

연구에 따르면 사과를 즐겨 먹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졸중 발병률이 52% 낮다고 한다. 사과의 식이섬유는 혈관에 쌓이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혈관이 딱딱해지는 것을 예방한다.

 

 

혈전 생성 억제를 돕는 생활습관

혈전은 주로 종아리와 허벅지의 정맥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동맥의 피가 심장이 뛰는 힘으로 도는 것과 달리 정맥은 주로 팔, 다리의 근육이 움직여 정맥을 짜주는 힘으로 순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육을 자주 움직이지 않고 혈전까지 생기면 피가 심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역류해 치명적인 후유증까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랜 시간 자동차 여행, 비행기 탑승시 좁은 공간에서 장딴지 근육을 움직이지 않으면 정맥피가 정체되어 혈전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집에서도 오래 누워 있거나 앉아있어도 좋지 않다. 걸으면 장딴지 근육이 수축하면서 펌프 역할을 해 피를 심장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장시간 서서 일하는 사람도 잠깐씩 걷거나 다리를 움직이는 게 좋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